매매일지

[매매일지] - LS, 에이피알 (2025.04.18 목요일)

주식 감자 2025. 4. 18. 00:10

코스피: 6조

코스닥: 1조

 

LS 매매타점

이전에 수급의 연속성을 보고 진입했던 종목이다. 프로그램 매매가 꾸준히 들어와서, 어제 하락이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프로그램 매수세를 근거로 계속 매수를 이어갔다. 아침에 반등이 나왔을 때 매도해서, 그나마 손실을 줄일 수 있었음. 진입 당시엔 수급 흐름과 전고점 돌파 기대감을 근거로 했는데, 돌이켜보면 확실한 재료가 없었던 종목이라 지금 생각하면 뇌동매매에 가깝다고 봐도 무방하다. 그나마 수급이랑 일봉 본게 다행이라면 다행.

 

 

에이피알 매매타점

K뷰티 에이피알, '아마존 6위' 찍고 매출 1조 '성큼'

 

해마다 실적 경신을 이어온 에이피알이 올해 1분기도 사상 최대 해외 매출을 기록할 전망이다. 미국 아마존 스킨케어 카테고리에서 K뷰티 최고 순위인 3위에 오르는 등 괄목할 만한 성장을 보였다. 2분기부터는 유럽을 중심으로 수출국이 대폭 증가하는 만큼 연매출 1조 클럽 입성에 청신호가 켜졌다.

15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에이피알 1분기 실적은 매출 2205억원, 영업이익 400억원으로 추정된다. 각각 전년 동기 대비 48.1%, 43.9% 증가한 수치로 시장 전망을 상회하는 결과다. 미국과 일본 등 기업 간 거래(B2B)가 호조를 띠며 실적을 견인했다. 지난해 에이피알의 매출은 7227억, 영업이익 1227억원이다.

하나증권은 1분기 에이피알 해외 매출이 전년 대비 147% 증가한 1600억원을 올릴 것으로 예측했다. 이는 사상 최대 해외 실적이다. 미국 매출은 187% 증가한 710억원, 일본은 103% 늘어난 200억원으로 추정했다.

에이피알의 대표 뷰티 브랜드 메디큐브는 올해 1분기 아마존 뷰티 카테고리에서 매출 6위에 올랐다. 미국의 뷰티 마케팅 기업 Navigo(나비고)의 '아마존 2025년 1분기 리뷰'를 살펴보면 점유율 3.8%로 전년 동기 대비 3.1% 성장했다. 스킨케어 부문에서는 지난해보다 3.9% 증가한 5.4%의 점유율로 3위를 차지했다.

순위권 내 타 브랜드들이 광고 예산을 쏟아부은 것에 반해 에이피알은 효율적인 프로모션 만으로 얻어낸 성과라는 점이 고무적이다. 이는 미주 시장에서 충성고객을 확보, 브랜드가 안정적으로 정착했다고 볼 수 있다. 올해 1분기 아마존 뷰티 카테고리 내 10위권에 진입한 K뷰티는 메디큐브와 바이오던스(7위) 2개뿐이다.

에이피알 측은 "아마존 내에서 프로모션을 효율적으로 진행하는 한편, 외부에서 집행하는 광고가 아마존과 시너지를 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에이피알은 올 2월부터 유럽 현지 유통사를 대상으로 메디큐브와 에이프릴스킨 화장품 및 뷰티 디바이스를 대량 공급하며 유럽 전역에 본격적인 판매를 개시했다. 해외 B2B 사업 모델을 기반으로 대량 발주가 이어져 유럽발 실적도 우상향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에이피알 관계자는 "미국 시장의 환경변화가 크지만 한국산 뷰티제품을 향한 수요 이탈은 크지 않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향후 신제품을 지속해서 출시하며 미국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B2B 모델 등을 통해 신규 판로 개척을 이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에이피알은 수급 흐름과 기사 내용을 긍정적으로 판단했고, 프로그램 매수세도 붙어 있는 상황이라 종가 베팅으로 진입했다.

다음 날 오전, 가격이 좋을 때 비중을 추가로 실어서 매매를 이어갔다. 하지만 지수가 다소 밀리는 흐름이 보이자 바로 매도 진행.

미용 관련 섹터가 전반적으로 강세라는 점도 고려한 매매였고, 전체적인 흐름에선 타점이 조금 아쉽긴 하지만, 그래도 빠른 대응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라고 본다.

 

최근 시가 베팅으로 그동안 쌓아온 수익을 많이 까먹었다. 돌이켜 보면, 시가에 갭이 크게 상승한 종목에 올라타는 매매는 정말 위험하다는 걸 다시 한 번 느꼈다. 특히 갭이 10% 이상 뜬 유니온에서 큰 손실을 봤는데, 그만큼 시가에서 이미 많이 오른 종목은 되돌림도 클 수밖에 없고, 웬만하면 이런 종목은 시가 베팅 대상에서 제외하는 게 맞겠다는 생각이 든다. 또한, 동시호가에 진입하는 매매도 리스크가 크다고 느꼈다. 차라리 시초가 이후 눌림이 나왔다가 다시 올라가는 흐름에서 진입하는 게 훨씬 안정적이다.

 

포기하지말자 언제나 그랬듯 늘 시장에게 감사하며 오늘은 이만.

반응형